반응형 BFS3 프로그래머스 문제 풀이) 깊이/너비 우선 탐색(DFS/BFS) : 네트워크 문제 설명네트워크란 컴퓨터 상호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된 형태를 의미합니다. 예를 들어, 컴퓨터 A와 컴퓨터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고, 컴퓨터 B와 컴퓨터 C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컴퓨터 A와 컴퓨터 C도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컴퓨터 A, B, C는 모두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.컴퓨터의 개수 n, 연결에 대한 정보가 담긴 2차원 배열 comput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네트워크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하시오.제한사항컴퓨터의 개수 n은 1 이상 2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각 컴퓨터는 0부터 n-1인 정수로 표현합니다.i번 컴퓨터와 j번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으면 computers[i][j]를.. 2025. 4. 19. 코딩테스트에서 자주 출제되는 탐색 알고리즘별 예시 문제 3.1 선형 탐색 (Linear Search)문제 설명"배열에서 특정 값의 첫 번째 인덱스 찾기"정수 배열 arr과 정수 target이 주어질 때, target이 배열에 존재하면 첫 번째로 등장하는 인덱스를 반환하고, 없으면 -1을 반환하세요.입력 예시:arr = [4, 2, 7, 2, 9], target = 2출력 예시:1노트:배열은 정렬되지 않을 수 있음시간 복잡도: O(n)풀이 코드def linear_search(arr, target): for i in range(len(arr)): if arr[i] == target: return i return -13.2 이진 탐색 (Binary Search)문제 설명"정렬된 배열에서 타겟의 첫 번째 위치 찾기"오름차순.. 2025. 4. 18. 탐색(Search) 알고리즘 3.1 선형 탐색(Linear Search)선형 탐색은 가장 기본적인 탐색 알고리즘으로, 배열이나 리스트와 같은 데이터 집합에서 원하는 값을 찾기 위해 처음부터 끝까지 차례대로 각 원소를 하나씩 비교합니다. 탐색 대상(키 값)이 배열의 첫 번째 원소에 있다면 한 번의 비교로 찾을 수 있지만, 배열의 마지막에 있거나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모든 원소를 확인해야 하므로 비교 횟수가 최대가 됩니다. 선형 탐색은 정렬 여부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, 구현이 매우 간단하고 직관적입니다. 하지만 데이터가 많아질수록 효율이 떨어지므로, 소규모 데이터나 정렬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에서 주로 사용됩니다. 최악의 경우 시간 복잡도는 O(n)이며, 공간 복잡도는 O(1)입니다. 탐색에 실패하면 -1이나 NULL 등으로 결.. 2025. 4. 18. 이전 1 다음 반응형